경제언어

9일차 경제 지식 쌓기(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경제 지식도 알아야한다!)

사용자개발자 2024. 9. 2. 15:33

1. 경제 제재 (Economic Sanctions)

  • 경제 제재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경제 활동을 제한하거나 방해하기 위해 부과하는 조치들을 의미합니다. 주로 외교적 분쟁이나 국제법 위반에 대한 처벌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A국이 B국에 대한 수출을 금지하면 B국의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2. 정부 지출 (Government Expenditure)

  • 정부 지출은 국가가 공공 서비스 제공, 사회복지, 인프라 투자 등을 위해 사용하는 모든 재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도로 건설, 학교 건립, 의료 서비스 제공 등이 정부 지출에 포함됩니다.

3. 상대적 빈곤 (Relative Poverty)

  • 상대적 빈곤은 특정 사회나 국가 내에서 중간 소득 대비 현저히 낮은 소득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절대적 빈곤(최저 생활 수준 이하의 상태)과 달리, 소득의 불평등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중간 소득의 50% 이하를 버는 가구는 상대적 빈곤에 속할 수 있습니다.

4. 환율 조작 (Currency Manipulation)

  • 환율 조작은 한 나라가 자국 통화의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추거나 높여 무역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수출을 촉진하고 수입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외환 시장에 개입하여 자국 통화를 매도하면 환율이 떨어지고, 수출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5. 비관세 장벽 (Non-Tariff Barriers)

  • 비관세 장벽은 수입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하는 관세 외의 모든 규제와 정책을 말합니다. 이는 수입 규제, 표준, 검역 규제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에 대한 엄격한 안전 기준을 설정하여 그 상품의 수입을 어렵게 만드는 것이 비관세 장벽입니다.

6. 물가 연동 (Indexation)

  • 물가 연동은 물가 변동에 따라 임금, 연금, 채권 이자 등을 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실질 구매력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연금이 물가 상승률에 따라 매년 조정된다면, 그 연금은 물가 연동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7. 국민총소득 (Gross National Income, GNI)

  • 국민총소득은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총소득을 말하며,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포함합니다. 이는 경제 규모와 국민의 평균 소득 수준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기업이 해외에서 번 수익도 한국의 GNI에 포함됩니다.

8. 공급 탄력성 (Supply Elasticity)

  • 공급 탄력성은 가격 변화에 따라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공급이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면 공급 탄력성이 높다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낮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사과의 가격이 상승했을 때 농부들이 사과 생산량을 크게 늘린다면, 사과의 공급은 탄력적입니다.

9. 가계 저축률 (Household Savings Rate)

  • 가계 저축률은 가계 소득 중 소비되지 않고 저축된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의 안정성과 가계의 재정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한 나라의 가계 소득 중 10%가 저축된다면, 그 나라의 가계 저축률은 10%입니다.

10. 파생상품 (Derivatives)

  • 파생상품은 기초 자산(주식, 채권, 통화 등)의 가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 상품을 말합니다. 이는 리스크 관리, 투기, 헤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주식 옵션이나 선물 계약은 파생상품의 대표적인 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