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탄력성 (Elasticity)
- 탄력성은 경제학에서 가격이나 소득의 변화가 수요나 공급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가격 탄력성은 특정 상품의 가격이 변할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이 아이스크림을 덜 사는 경우, 그 상품은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높은 것입니다.
2. 화폐 중립성 (Money Neutrality)
- 화폐 중립성은 통화량의 변화가 장기적으로 실질 경제 변수(예: 생산, 실업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경제 이론입니다. 이는 통화량의 변화가 일시적으로는 가격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경제의 실제 활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통화량이 증가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실질 GDP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3. 페이롤 (Payroll)
- 페이롤은 기업이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급여의 총합을 말하며, 고용 및 임금 지불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합니다. 이는 세금, 사회보장, 건강보험 등과 같은 여러 공제 항목을 포함하여 관리됩니다. 예를 들어, 월급을 주고 세금을 공제한 후 직원에게 지급되는 금액이 페이롤의 일환입니다.
4. 무역 장벽 (Trade Barrier)
- 무역 장벽은 국가 간 무역을 제한하거나 방해하는 정책적 장치를 의미합니다. 이는 관세, 수입 쿼터, 수출 금지, 비관세 장벽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가 외국 상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그 상품이 자국 내에서 더 비싸져서 무역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5. 공급 충격 (Supply Shock)
- 공급 충격은 특정 재화나 서비스의 공급이 갑작스럽게 크게 변동하면서 발생하는 경제적 상황을 말합니다. 이는 가격과 생산량에 큰 영향을 미치며, 경제 전반에 걸쳐 물가 변동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천연 재해로 인해 원유 생산이 급감하면, 원유 가격이 급등하고 이에 따른 연쇄적인 경제 충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가처분 소득 (Disposable Income)
- 가처분 소득은 개인이 세금과 필수 생활비를 제외하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을 말합니다. 이는 소비와 저축의 기본이 되며, 경제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월급에서 세금과 주거비를 뺀 나머지 금액이 가처분 소득입니다.
7. 노동 생산성 (Labor Productivity)
- 노동 생산성은 일정 시간 동안 한 명의 노동자가 만들어내는 산출량을 말합니다. 이는 경제 성장과 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한 근로자가 하루에 10개의 가구를 만드는 경우, 그 노동자의 생산성은 하루에 10개입니다.
8. 정책 금리 (Policy Interest Rate)
- 정책 금리는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에 적용하는 기준 금리로, 경제의 전반적인 금리 수준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실업률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정책 금리를 인하하면 대출 이자율이 낮아져 소비와 투자가 촉진될 수 있습니다.
9. 잠재 GDP (Potential GDP)
- 잠재 GDP는 인플레이션 없이 한 나라가 최대한 생산할 수 있는 산출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경제가 완전 고용 상태에 있을 때 달성할 수 있는 생산 수준을 나타내며, 경제 정책 수립에 중요한 참고 자료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경제가 잠재 GDP 수준보다 낮은 생산을 하고 있다면, 이는 경제가 불황 상태에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10. 소득 분배 (Income Distribution)
- 소득 분배는 한 나라에서 소득이 사람들 사이에 어떻게 나누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경제적 불평등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공정한 소득 분배는 사회 안정성과 경제적 발전을 위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상위 10%에게 집중되어 있다면, 그 나라의 소득 분배는 불평등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제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일차 경제 지식 쌓기(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경제 지식도 알아야한다!) (14) | 2024.09.04 |
---|---|
9일차 경제 지식 쌓기(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경제 지식도 알아야한다!) (3) | 2024.09.02 |
7일차 경제 지식 쌓기(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경제 지식도 알아야한다!) (9) | 2024.08.29 |
6일차 경제 지식 쌓기(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경제 지식도 알아야한다!) (2) | 2024.08.27 |
5일차 경제 지식 쌓기(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경제 지식도 알아야한다!) (0) | 2024.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