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언어

15일차 경제 지식 쌓기(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경제 지식도 알아야한다!)

사용자개발자 2024. 11. 22. 09:56

1. 생산 가능 곡선 (Production Possibility Curve, PPC)

  • 생산 가능 곡선은 한 나라가 모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때 생산할 수 있는 두 상품의 최대 조합을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이는 자원의 한계와 선택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예: 농업과 산업 생산 중 하나를 늘리면 다른 하나를 줄여야 하는 상황.

2. 현금 비율 (Cash Ratio)

  • 현금 비율은 기업이 보유한 현금과 단기 부채 간의 비율로, 기업이 단기 채무를 얼마나 쉽게 상환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 현금 1억 원, 단기 부채 5천만 원이라면 현금 비율은 2입니다.

3. 효용 (Utility)

  • 효용은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소비하면서 느끼는 만족감을 의미합니다. 경제학에서 효용은 선택과 소비를 설명하는 기본 개념입니다.
    예: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효용이 증가합니다.

4. 명목 GDP (Nominal GDP)

  • 명목 GDP는 한 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현재 가격으로 측정한 것입니다.
    예: 한국의 2023년 명목 GDP가 2조 달러라면, 이는 해당 연도의 실제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된 값입니다.

5. 실질 GDP (Real GDP)

  • 실질 GDP는 인플레이션을 조정하여 특정 연도의 가격 수준을 기준으로 생산량을 측정한 값입니다. 이는 경제의 실제 성장을 더 정확히 반영합니다.
    예: 2023년 한국의 실질 GDP가 1.8조 달러라면, 이는 인플레이션 영향을 제거한 값입니다.

6. 공급 사슬 (Supply Chain)

  • 공급 사슬은 원재료에서 최종 소비자에게 상품이 전달되기까지의 전체 과정을 말합니다.
    예: 농부가 재배한 밀 → 제빵소 → 소매점 → 소비자로 이어지는 과정.

7. 경기 침체 (Economic Slowdown)

  • 경기 침체는 경제 활동이 둔화되며, 실업률 상승과 소비 감소가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리세션(recession)보다 가벼운 상태일 수 있습니다.
    예: 한 나라의 GDP 성장률이 0%에 가깝거나 약간 마이너스일 때.

8. 경제 통합 (Economic Integration)

  • 경제 통합은 여러 국가가 무역 장벽을 줄이고 경제적으로 협력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자유무역협정(FTA), 관세동맹, 경제연합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예: 유럽연합(EU)은 가장 높은 수준의 경제 통합 사례입니다.

9. 인플레이션 헤지 (Inflation Hedge)

  • 인플레이션 헤지는 물가 상승으로 인해 자산 가치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투자 전략입니다.
    예: 금, 부동산, 주식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 자산으로 여겨집니다.

10. 소득 탄력성 (Income Elasticity)

  • 소득 탄력성은 소득 변화에 따라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요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예: 고급 와인은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높은 소득 탄력성을 가집니다.

 

✅ 투자에 더 알고 싶으신 분들 연락주세요!

  네이버폼 주소  
https://naver.me/Ig4Tw1z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