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언어

16일차 경제 지식 쌓기(경제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경제 지식도 알아야한다!)

사용자개발자 2024. 12. 10. 11:40

1. 자산 유동화 증권 (Asset-Backed Securities, ABS)

  • 자산 유동화 증권은 부동산, 자동차 대출 등 기초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을 담보로 발행한 증권입니다.
    예: 금융기관이 대출금을 담보로 채권을 발행해 투자자에게 판매하는 것.

2. 수출 주도 성장 (Export-Led Growth)

  • 수출 주도 성장은 한 나라가 수출을 중심으로 경제 성장을 이끄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예: 1970~80년대 한국의 경제는 수출 중심의 성장 전략을 통해 발전했습니다.

3. 선물 시장 (Futures Market)

  • 선물 시장은 특정 상품이나 금융 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과 날짜에 사고팔기로 약속하는 시장입니다.
    예: 농부가 곡물 가격을 고정해 미래의 가격 변동 리스크를 줄이는 데 사용합니다.

4. 구조적 실업 (Structural Unemployment)

  • 구조적 실업은 기술 발전이나 산업 변화로 인해 노동자의 기술과 일자리 요구가 맞지 않아 발생하는 실업을 말합니다.
    예: 자동화로 인해 제조업 노동자가 일자리를 잃는 경우.

5. 네트워크 효과 (Network Effect)

  • 네트워크 효과는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가 더 커지는 현상입니다.
    예: 사람들이 더 많이 가입할수록 소셜 미디어의 가치가 증가하는 경우.

6. 탄소세 (Carbon Tax)

  • 탄소세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으로, 환경 보호를 목표로 합니다.
    예: 기업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기술을 도입하는 데 탄소세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7. 공공 선택 이론 (Public Choice Theory)

  • 공공 선택 이론은 정부나 공공 부문의 의사결정을 경제학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예: 정치인이 자신의 재선 가능성을 고려해 경제 정책을 선택하는 경우.

8. 기준 금리 (Base Rate)

  • 기준 금리는 중앙은행이 금융기관에 대출할 때 적용하는 금리로, 시장 금리의 기준이 됩니다.
    예: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인상하면 대출 이자율도 높아집니다.

9. 국가 부도 (Sovereign Default)

  • 국가 부도는 한 나라가 외채를 상환할 능력을 잃었을 때 발생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예: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당시 일부 국가가 국가 부도를 선언했습니다.

10. 행동 경제학 (Behavioral Economics)

  • 행동 경제학은 사람들이 비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경제적 의사결정을 분석하는 학문입니다.
    예: 할인 쿠폰이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유도하는 경우.